#주요 라이브러리의 문법과 유의점 # 책에서 말하는 코테에 가장 중요한 파이썬 라이브러리는 6가지가 있다 # 내장함수 : 설명생략 # itertools: iter는 반복이라는 뜻이 있다., 반복되는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 순열과 조합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. # heapq : 힙(heap)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다. 우선순위 큐 기능을 구현할떄 사용 # bisect: 이진탐색 기능을 제공한다 #collections : 덱(deque), 카운터(Counter)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# math : 필수적인 수학적 기능을 제공하느 라이브러리이다 . 팩토리얼,제곱근,최대공약수(GCD), 삼각함수 관련 함수부터 파이 같은 상수도 있다. #내장함수 #iterable객체란? iterabl..
#입출력 # a=input().split() #이러면 그냥 받은대로 문자열 형태로 저장됨 그래서 이럴때 map(받을자료형,받을 값들) #map() 메소드도 같이 써줘야함 그리고 리스트 형식으로 받을려면 list() 튜플 원하면 tuple() # print(a) #input() #int() 안에 있는 값을 int 형으로 변환 # n=int(input()) # 여러개의 데이터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받을때 사용하는 함수****** # list(map(int ,input().split())) #input().split() 입력받은 값을 공백으로 구분 #input().split('f') # data=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3 # data.sort(reverse=True) # p..
#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로 컴퓨터는 소수를 정확하게 표현 못한다. # 컴퓨터는 이진수만 받아들일수 있기 떄문에 어쩔수 없이 나오는 문제이다. a= 0.3+0.6 print(a) if a==0.9: print(True) else: print(False) a= 0.3+0.6 print(round(a,4)) #소수 5번째자리에서 반올림 인자한개면 1번째자리에서 반올림 if round(a,4) == 0.9: print(True) else: print(False) a=7 b=3 #몫 print(a//b) #빈리스트 선언하는 방법 a=[] print(a) a=list() print(a) #크기가 N인 1차원 리스트 초기화 n=9 a=[0]*n print(a) #인덱스 슬라이싱 a=[1,2,3,4,5,6,7] pri..
#if문 들여쓰기 필수 ! # and 가 & 이랑 같음 money=2000 card = 1 if money and False: #2000은 트루 False는 False print("택시를 타고가") elif card: print("카드찍고타") else: print("걸어가 ") if 1 not in [1,2,3]: # 1,2,3 리스트안에 1이 없냐?? print("택시타") else: print("걸어") if 1 in [1,2,3]: # print("before") pass # 아무것도 하기 싫을때 씀 아무것도 안하는데 안쓰면 에러 print("after") else: print("걸어") #조건부 표현식 #True일떄행동 if 조건식 else False일때 행동 #else 안쓰면 오류 score=..
#튜플 #기본형식 리스트 a=[2,1,4] 튜플 a=(2,1,4) #리스트는 마음대로 추가하고 조회하고 했지만 #튜플은 마음대로 볼수는 있지만 추가 삭제는 할수 없다 #튜플은 변하지 않는다! t1=(1,2,'a','b') # del t1[0] #에러 print(t1[0:2]) # print(t1) t2=(3,4) print(t1+t2) #이건 되네 print(t1*3) #더하는 걸보고 튜플이 변했네 생각 할수도 있지만 #이경우 새로운 t1+t2한 새로운 튜플을 만들었다고 이해 할 수 있다. #튜플은 변하지 않아! print(t1[0]+1) #2 a=(1,2) a=a*3 print(a) #a를 바꾼다기보다는 a라는 변수공가에 새롭게 넣는 것이다 #dictionary 사전이라는 뜻 #key를 통해 value..
정리라기보단 걍 내용을 다 적었다 a=1 b=4 c = "hello world" d="""ho"ho"hooh""" e='''ghehe''' print(a//b) #나누기 할때 몫으로 나오려면 // 두개 print(a/b) #기본적으로 정수를 나눠도 float 형이 나온다 print(type(a/b)) print(type(c)) print(type(d)) print(d) a=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" print(a) number=10 day="three" a="I ate %d apples. so I was sick for %s days" % (number,day) print(a) print(a) #3.6이상만 name = "int" a= f"나의 이름은 {name}입니다"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전역후후유증
- CSS
-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
- 파이썬문법
- 체크인미팅3차성공
- 타이탄 철물점
- 오블완
- 전체체크
- border-box
- 42서울
- 파이썬
- 42seoul
- nofap
- 티스토리챌린지
- SW마에스트로
- SW교육프로그램
- 자식선택자
- 컨트롤F5
- 문법
- 타이탄 철물점과 브랜드로우 워드프레스 1기 후기
- 체크인미팅1차실패
- >선택자
- SW정글
- 기본문법
- error: src refspec master does not match any.
- 뺄샘
- 코틀린
- 브랜드로우
- 조코딩
- 그때그때열심히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